[Daily Report] Daily Report : Deloitte – 2025 Back-to-School Survey, 평균 570달러 지출
2025/07/17 10:11
1. Deloitte – 2025 Back-to-School Survey
가계 부담 증가 속 예산 중심 소비 강화: 학부모들은 최근 경제 상황과 재정 압박을 반영해 올해 자녀당 평균 570달러의 지출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 대비 변화 없는 수준으로 필수 항목 중심의 소비 전략이 강화
프로모션 활용과 브랜드 전환 적극화: 전체 지출의 61%가 7월 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며, 75%의 부모는 가격 인상 시 브랜드 전환을 고려하고 있어 할인 행사와 저가 브랜드가 수요를 흡수할 가능성
소셜미디어·AI 활용한 Z세대 부모 부상: Gen Z 부모 중 75%가 소셜미디어를 통해 쇼핑할 계획이며, 이들은 평균보다 1.8배 더 많이 지출해 디지털 네이티브를 겨냥한 마케팅 전략이 중요
2. Meta – 차세대 AR 글래스를 위한 유니바디 특허 출원
표면·공중 제스처 모두 인식 가능한 인터페이스 설계: 사용자의 손동작을 감지해 가상현실에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며, 표면 접촉이나 공중 제스처 모두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는 센서 기반 구조로 설계
극박형 액추에이터 통한 실감형 햅틱 기술 적용: 2mm 이하 두께의 유연한 전기삼투 액추에이터를 통해 손가락, 손목 등에 착용해도 부담 없이 자연스러운 촉각 피드백을 구현하며 기존의 경직된 장비 대비 착용감과 반응성이 향상
웨어러블 기기 중심의 AR 생태계 확장 가능성 제시: 장갑, 팔찌, 섬유형 장비 등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에 호환 가능하며 향후 스마트 섬유 및 VR/AR 장치의 통합 인터페이스로 진화할 잠재력이 존재
3. Bain – AI가 SaaS 시장을 재편하는 4가지 시나리오
AI가 SaaS 기능을 대체하는 구조적 변화 가속: 코드 작성, 고객지원, 회계 등 다양한 기능이 이미 AI 에이전트에 의해 대체되고 있으며 향후 디지털 업무의 주체가 ‘인간+앱’에서 ‘AI+API’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음
업무 자동화 가능성과 침투율 기반 전략 구분: SaaS 기업은 자동화 잠재력과 업무 침투율에 따라 방어, 확장, 대체 등의 전략을 취해야 하며 AI로 인해 시장이 축소되는 영역과 성장하는 영역을 정확히 구분
표준화 주도와 데이터 소유가 핵심 경쟁력: Anthropic MCP, Google A2A 등 표준화 시도가 진행되는 가운데 데이터와 의미계층을 정의하는 주체가 향후 AI 시대의 핵심 가치를 선점
4. 윤리적 AI 영상 스타트업, Moonvalley 대규모 투자 유치
정품 콘텐츠 기반의 생성형 영상 AI 플랫폼 개발: Moonvalley는 저작권 보유 콘텐츠만을 학습 데이터로 활용해 창작자 권리를 보호하면서 고성능 생성형 영상 AI 모델을 구축
Comcast, CAA 등 주요 미디어 기업의 투자 확보: 8,400만 달러 규모의 자금 유치를 통해 API 플랫폼 확장, 라이브러리 확대, 엔터프라이즈 고객 대응 기능을 강화하고 있으며 업계 협력 확대가 기대
AI 기술 윤리와 창작자 친화성에 초점: AI가 창작자의 도구로 작용해야 한다는 가치관을 명확히 하며 미디어 산업 내 AI 기술의 윤리적 사용 모델로 자리매김할 가능성
5. Leggings 트렌드 하락과 루즈핏 팬츠의 부상
Gen Z 세대 중심의 스타일 변화 확산: 밀레니얼 세대가 이끈 레깅스 중심 스타일이 Gen Z 소비자 사이에서 루즈핏, 벌룬팬츠, 요가 플레어 등 여유 있는 실루엣으로 빠르게 대체
Lululemon의 시장 영향력 약화 조짐: 북미 매출 성장 둔화, 주가 하락, 제품군 축소 등 레깅스 의존도가 높은 브랜드는 성장 한계에 직면하고 있으며 Free People Movement 등의 브랜드는 루즈핏 라인으로 성장
편안함의 재정의와 소비자 가치 변화 반영: 늘어나는 착용감보다 쉬운 움직임과 자연스러움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소비자의 기준이 이동하고 있으며 이는 건강, 실용성, 일상성 가치의 재조정 흐름
6. Pollen Robotics – Reachy Mini 데스크탑 로봇 출시
코딩·AI 학습을 위한 오픈소스 기반 로봇: 얼굴 인식, 음성 반응, 간단한 대화 등이 가능한 소형 로봇으로 Python 기반 프로그래밍 및 다양한 AI 기능을 실습할 수 있는 학습용 키트 형태로 제공
경량·모듈형 설계로 휴대성과 확장성 확보: 1.5kg 무게로 책상 위 혹은 이동 중에도 사용 가능하며 모터, 안테나, 스피커 등 다양한 부품 조립과 애니메이션 기능을 통해 로봇의 생동감을 극대화
시뮬레이션 및 커뮤니티 기반 공유 활성화: 실제 장비에 적용 전 가상 로봇을 활용해 시뮬레이션 가능하며 커뮤니티 내 코드 공유 및 협업이 가능해 학습과 창작을 동시에 지원하는 생태계를 구축
7. 미국 소비자, 관세 인상 시 브랜드 전환 계획
Gen Z 및 베이비붐 세대의 전환 가능성 높음: 관세 인상에 따라 Gen Z(46%)와 Boomers(45%)가 저가 대체 브랜드로 전환할 의향이 높으며 이는 마케팅 전략 수립 시 세대별 민감도 차이를 고려
일상 소비재에 관세 영향 체감 증가: 미국 성인 70%가 관세가 실생활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정부 정책 변화가 직접적인 소비 행동에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줌
광고 전략에 비용 민감성 반영 필요: 브랜드는 동일 제품 내 대체 옵션을 명확히 제시하고 예산 친화적 메시지를 포함한 광고와 판촉 전략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대응 필요
8. Grant Sinclair – 포켓형 게임 콘솔 GamerCard 공개
신용카드 크기의 초소형 게임기 등장: 128 x 88 x 6.5mm 크기의 GamerCard는 휴대성과 성능을 겸비한 초소형 콘솔로 레트로 게임 팬과 교육용 유저를 겨냥해 출시되었으며 라즈베리 파이 기반으로 동작
레트로 감성 게임과 에뮬레이터 호환 제공: Bloo Kid 2, AstroBlaze DX 등 기본 게임 외에도 PICO-8 앱을 통해 수천 개의 고전 게임과 자체 제작 게임 플레이가 가능해 다양한 활용도를 제공
매장용 선불카드 형태 유통 전략 병행: 향후 매장에서 일반 기프트카드처럼 진열·판매 가능한 포맷으로 확장될 예정이며 충동구매 유도와 접근성 확대를 동시에 노린 유통 전략이 적용